안녕하세요. 오늘은 연구설계방법에서 많이 사용하는 타당도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타당도는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가 있는데요. 그럼 어떤 내용인지 각각 알아보겠습니다.
1. 내적 타당도
실험의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친 것이 통제되지 않는 가외변수의 영향 때문이 아니라 독립변인뿐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무선배치 : 실험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실험의 특정 조건에 배정될 확률이 동일하도록 만드는 작업을 일컫습니다. 무선배치 및 여타 변인을 통제하는 목적은 내적 타당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내적 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실험이 잘 수행되어 인과관계의 해석이 명확함을 의미 합니다.
2. 외적 타당도
실험의 결과를 다른 상황과 다른 사람들에게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정도입니다.
일반화 정도는 두 가지 : 상황 일반화, 집단 일반화
1) 상황 일반화 : 실험실에서 관찰된 결과를 실생활에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정도입니다.
2) 집단 일반화 :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에서 확보된 결과가 일반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정도입니다.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심리적 실재성을 최대화시키려 합니다.
심리적 실재성 : 실험에서 촉발된 심리 작용/과정이 실생활에서 촉발된 심리 작용/과정과 유사한 정도를 의미합니다. 심리적 실재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실험자들이 참여자들에게 꾸민 이야기를 들려주곤 하죠.
꾸민 이야기 : 참여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는체하면서 소개하는 연구의 진짜 목적과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