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에 관하여~

by 테리쌤!! 2023. 4. 8.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구설계방법에서 많이 사용하는 타당도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타당도는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가 있는데요. 그럼 어떤 내용인지 각각 알아보겠습니다. 

 

 

1. 내적 타당도 ­

 

실험의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친 것이 통제되지 않는 가외변수의 영향 때문이 아니라 독립변인뿐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

 

무선배치 : 실험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실험의 특정 조건에 배정될 확률이 동일하도록 만드는 작업을 일컫습니다. ­ 무선배치 및 여타 변인을 통제하는 목적은 내적 타당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 내적 타당도가 높다는 것은 실험이 잘 수행되어 인과관계의 해석이 명확함을 의미 합니다. 

 

 

2. 외적 타당도

­

실험의 결과를 다른 상황과 다른 사람들에게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정도입니다. ­

 

일반화 정도는 두 가지 : 상황 일반화, 집단 일반화

­

1) 상황 일반화 : 실험실에서 관찰된 결과를 실생활에 일반화시킬 수 있는 정도입니다. ­

2) 집단 일반화 :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에서 확보된 결과가 일반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정도입니다. ­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심리적 실재성을 최대화시키려 합니다. ­

 

심리적 실재성 : 실험에서 촉발된 심리 작용/과정이 실생활에서 촉발된 심리 작용/과정과 유사한 정도를 의미합니다. 심리적 실재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실험자들이 참여자들에게 꾸민 이야기를 들려주곤 하죠. ­

 

꾸민 이야기 : 참여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는체하면서 소개하는 연구의 진짜 목적과는 다른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