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오늘은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피아제는 평생을 인간발달에게 대해 연구했지만 사실 그 스스로는 이론을 교육에 적용시켜 의미를 시사한 적이 없어요. 하지만 그의 이론은 오늘의 우리가 교수학습이론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그가 교육에 미친 영향은 대단하다고 할 수 있어요.
피아제도 강조했지만 교육자들은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이론이 교육 실제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이론의 가치는 연구를 통해 증명해야 하죠. 당시 피아제는 전통적 교육이 기술에만 치우쳐 있고, 유아의 발달단계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있다고 보았어요.. 오늘날 피아제를 비롯한 여러 심리학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인지발달 이론의 교육적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요.
① 자율적 학습 강조
아이들은 나름의 틀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적극적인 사고의 존재에요. 아동이 교사의 지시에 의해 지식을 수용하기보단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함을 뜻하죠. 사회-정서적인 교육적 측면에서 아동이 성인과 관계를 맺을 때 점차 자율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② 발달단계에 따른 체계적 학습구성
지식은 단계를 지나면서 발달하는 ‘논리-수학적인 조작’의 체계에 의해 구성되요. 교사는 아동의 발달 수준과 과제의 복잡성을 늘 염두해야 하며, 아동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해요. 피아제는 이상적인 학습은 아동의 인지수준과 과제의 복합성이 부합할 때라고 했죠. 교사가 잘 구성된 교재와 흥미진진한 수업계획을 세웠다고 하더라도 많은 아동이 이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조작능력이나 인지구조를 부족하다면 수업의 효과는 없다고 봐야해요
③ 민주적 교육태도 강조
성인이 아동의 행동을 규제하거나, 상과 벌을 주게되는 상황에서 되도록 아동의 행동에 상벌을 주는 것을 피할 것과 불가피하다면 상호성의 벌을 사용할 것을 강조했어요. 교육자는 '자율성'이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유념하고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기의 힘을 행사하는 지양해야 하며, 의견을 말할 때는 여러 많은 의견 중의 하나로서 말하고, 아동이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도록 격려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민주적인 교육자세 확립에 기여했어요.
④ 조기교육의 중요성 인식
저학년에서 구체적 조작의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하여 형식적 조작기로 이끄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즉, 영아기와 유아기처럼 어릴 때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주었죠.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이른바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잘 일깨워주는 대목이구요.
오늘은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